목록CTF (4)
kaki1013

0. 문제 상황 교외 장학금을 신청하던 중, 학력사항(고등학교)을 요구하여 학교를 검색하였다. 하지만 내가 다닌 고등학교가 나오지 않아서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임시로 해결을 하였다. 1. 작동 방식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해당 페이지는 (1) '학교 검색' 버튼을 누르면 ,우측 사진과 같은 팝업이 나온다. (2) 사용자가 학교 이름을 검색한 뒤, '검색' 버튼을 누르면 학교들의 리스트가 나온다. (2)번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개발자 도구의 Network 탭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커리어넷(career.go.kr)의 오픈API를 통해 GET 요청을 보낸 뒤 해당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있다. 2. 원인 커리어넷 오픈API를 기준으로, '중앙고등학교'를 포함하는 고등학교는 28개이..
1. https://stegonline.georgeom.net/upload : RGBA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특정 비트(특히, LSB)를 추출하는 등의 작업 가능 2. https://29a.ch/photo-forensics/#forensic-magnifier : 이미지를 자세히 보거나, 웹에서 직접 변형하는 작업 가능 3. https://futureboy.us/stegano/ : LSB에 숨은 데이터 찾거나, 패스워드 입력 가능 참고 : 1. https://blog.naver.com/ksil_/222596107212 [Forensic] CTF tools 정리 (1) Multimedia 분야의 포렌식 CTF를 경험하며 사용했던 도구나 접근 방향들에 대한 정리를 해볼까 한다. (... blog.na..
매직 넘버 : 저장된 데이터를 구분하는 상수, 많은 파일 형식을 구분하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 "Many files have such constants that identify the contained data. Detecting such constants in files is a simple and effective way of distinguishing between many file formats and can yield further run-time information." (참고 1) 자주 쓰이는 매직 넘버 : JPEG, PNG, PDF, ZIP, 7z 등 Extension Hex signature JPEG FF D8 FF E0 PNG 89 50 4E 47 0D 0A 1A 0A PDF 25 5..
파이썬에서 바이트 형으로 주어진 파일이 있을 때, 혹은 어떠한 분석을 통해서 바이트 단위로 파일을 추출해냈을 때 이를 파일로 저장하여 그 후의 분석을 해야 한다. 아래의 코드는 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코드이다. 'wb' 를 인자로 줌으로써, 바이트 단위로 파일을 쓸 수 있다. 아래에서는 txt 파일에 저장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지 파일, 비디오 파일 등도 가능하다. b = bytes(i for i in range(97, 123)) f = open('1.txt', 'wb') f.write(b) f.close()